블루문
그전에 조사해보기 전까지는 파란색 달인 줄 알았다... 하지만 그건 아니었던 것이다...
블루문(blue moon)은 양력 날짜로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현상에서, 두 번째로 뜬 달을 일컫는 말이다. 달의 색깔과는 무관하다.
달빛의 색과 관계없이 보름달이 한 달에 2번 뜨는 현상을 일컬으며, 여기서 두 번째로 뜨는 달을 블루 문이라고 한다. 주기는 윤달과 같이 약 2~3년마다 한 번씩 일어난다. 블루문은 윤달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요즘에 많이 쓰이는 정의인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뜰 때, 두 번째 뜨는 달은 1946년 3월호에 실린 Sky & Telescope의 기사의 "Once in a Blue Moon"를 쓴 아마추어 천문학자 James Hugh Pruett가 전통적인 본 뜻의 정의를 잘못 해석하여, 계절적 연계가 없는 단일한 태양력 달력의 두 번째 보름달이라는 현대의 구어적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이 잘못된 정의를 널리 쓰게 된 것은 1980년 1월 31일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인 StarDate에서 1986년 Trivial Pursuit 게임에서 그것이 사용된 이후였다.
블루문이라는 명칭은 서양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다. 동양에서는 보름달이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보름달이 뜨는 시기에는 각종 기념일이나 전통 풍속이 있던 반면에 서양에서는 보름달이 불운을 가져온다고 믿어 좋지 않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다. 때문에 한 달에 보름달이 2번이나 뜨는 불길한 현상을 블루문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이 어원은 ‘blue’와 비슷한 옛날 단어인 'belewe‘에는 배신하다(betray)라는 뜻이 있는데, 두 번째 보름달을 ’배신자의 달‘이라고 칭한 것이 블루문의 어원으로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2020년 10월 31일 할로윈에는 블루문+미니문이 떴다. 시각은 오후 11시. 꼭 한번은 눈에 보고 싶은 달이다...
용어의 기원
달의 공전주기는 27.3일이고 달의 위상변화 주기는 29.5일 이다. 그런데 양력에서 한 달은 2월을 제외 하고 30, 31일이다. 이 때문에 한 달의 1일경에 보름달이 뜨면 30일이나 31일경에 다시 보름 달이 뜨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보름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보는 동양과 달리 서양에서는 보름달을 불길한 것으로 인식하여 한 달에 두 번이나 뜨는 보름달을 재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블루문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어원적으로 보면, 'blue'와 같은 발음인 옛 영어 단어 'belewe'에는 '배신하다(betray)'라는 뜻이 있는데,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배신자의 달(betrayer moon)'이라 칭한 게 지금과 같이 불길한 두 번째 보름달로서의 '블루문' 개념을 낳았다고 전해지는 것이다.
푸른 달
실제로 파란 빛을 내는 달은 화산폭발이나 대형 산불로 인해 대기 중에 먼지의 농도가 짙어질 때 나타날 수 있다. 붉은 빛의 파장보다 약간 넓은 입자들은 미 산란(Mie scattering)에 의해 달로부터 도달하는 붉은 계열의 빛은 강하게 산란시키고, 다른 색의 빛은 통과시키면서 백색 푸른색 심지어는 녹색을 띤다고 한다. 실제로 1883년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Krakatoa)화산 폭발로 인해 수일간 푸른 달이 관측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천문활동과는 관련이 없다.
그 외의 블루문으로는 칵테일이 있다...ㅋㅋㅋ 이건 내가 느끼기에 맛있는 음료수 느낌이었는데, 정말 음료수처럼 마시다 보면 한번에 훅 갈 수 도 있다...
'잡학사전(나의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 코인(pi코인, 20파이 이벤트!!) (1) | 2021.05.28 |
---|---|
Remint 코인(극초기 코인, 레민트 코인- 글 하단에 유니코인!!) (0) | 2021.05.28 |
Pi코인(파이코인 20개를 드려요ㅎㅎ) (2) | 2021.05.26 |
하이코인(극초기코인, 알리바바코인 + 글 하단에 M2 코인이벤트 링크!!) (19) | 2021.05.26 |
키의 중요성, 비만과의 관계 (0) | 2021.03.30 |